파란만장한 덕수의 인생
1950년 함경남도 흥남에서 자란 어린 덕수(엄지성)는 전쟁 피난으로 미국함선을 타고 고향을 떠나 고모가 있는 부산으로 가게됩니다. 하지만 혼란한 상황에 가족과 떨어져버린 여동생(막순)을 찾기 위해 아버지가 배에서 내렸는데 그것이 아버지의 마지막 모습이 될 줄은 몰랐습니다. 그렇게 부산 국제시장에 있는 고모네 가게(꽃분이네)에 도착한 덕수와 가족들.. 어려운 시기였지만 어머니는 아들을 학교에 보냅니다. 어린 동생 끝순이(김설)를 업고 학교에 다니며 그곳에서 평생을 함께 할 친구, 어린 천달구(장대웅)를 만나게됩니다.
시간이 흘러 청년이 된 덕수는 어렵고 힘들지만 공부가 하고싶었습니다. 하지만 동생이 서울대에 합격해 고민을 하게 됩니다. 결국 가족을 위해 자신의 꿈은 접어두고 돈을 벌기위해 친구 달구와 함께 독일에서 광부로 일을 하게됩니다. 하루하루 고달픈 삶을 살아가던 덕수는 파독 간호사 영자(김윤진)를 만나 사랑에 빠지게 됩니다. 그러던 어느 날 탄광에서 폭발이 일어나고 지하갱도가 무너지기 시작하고 덕수와 달구는 그곳에 갇히게 됩니다. 현지에서는 그들을 구하려는 노력을 하지않아 동료들이 직접 들어가 구조해냅니다.
그 후 덕수는 고향으로 무사히 돌아옵니다. 그러던 어느 날 고향에서 다시 영자를 보게되는데 그녀는 자신의 아이를 임신했다고 합니다. 그렇게 덕수와 영자의 결혼을 하게됩니다.
세월이 흘러 고모(라미란)가 돌아가시고 고모부가 가게를 처분하려하자 혹시나 아버지가 ‘꽃분이네’가 없어지면 자신을 못찾아오실 수 있다는 생각에 그 가게를 인수하기 위해 또 한번의 희생을 결심합니다. 아내 영자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가족을 책임지기위해 월남전에 참전하게 됩니다. 이곳에서 덕수는 물에 빠진 베트남 아이를 구하려다 왼쪽 다리에 총상을 입게 되고 다시 한국으로 돌아와 한쪽 다리를 절며 영자의 앞에 나타났습니다.
그렇게 다시 돌아온 덕수와 함께 꽃분이네는 새롭게 문을 열었고, 가족들은 다시 평화로운 일상을 보내게 됩니다. 이제 덕수는 별다른 사건없이 안정적으로 살 수 있을까요?
비하인드스토리
주인공 윤덕수는 실제 윤제균 감독의 아버님 존함을 그대로 사용했다고 합니다. 자신이 성공한 모습을 못 보고 돌아가신 아버지가 너무 보고싶어서 아주 예전부터 자신의 아버지가 주인공으로 투영된 이 영화를 기획했다고 합니다.
이 영화는 장르가 드라마이지만 의외로 CG가 많이 들어간 영화입니다. 우선 황정민의 대머리 분장은 아무리 분장을 잘해도 화면으로 보면 어색한 면이 있어서 거의 모든 얼굴을 영화’007 스카이폴’의 특수분장팀을 스웨덴에서 섭외해 CG로 리터칭했다고 합니다. 또한 덕수가 피난가는 장면도 CG였는데 이 장면에서만 CG로 천 컷이 넘는 영상이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젊은 시절의 덕수와 달구를 표현하기 위해 영화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의 CG팀에 문의했더니 얼굴을 늙게 만드는 것은 가능하지만 젊게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답변을 받았지만 포기하지않고 전세계 CG팀을 다 연락해보고 마침내 일본의 CG업체를 섭외할 수 있었고 두 사람의 젊은 얼굴과 몸을 영화에서 볼 수 있었다고 합니다. 이런 이유로 촬영이 끝나고 후반작업에만 1년이 걸렸다고 합니다.
덕수가 파독 광부로 가게 된 독일의 광산 장면은 체코의 탄광 도시 오스트라바에서 촬영을 했는데 이곳은 환복 시설과 갱도 입구까지 실제 사용했던 시설이라고 합니다. 현재는 이곳을 그대로 보존시켜 박물관이 되었다고 합니다. 영화에서 나오는 ‘살아서 지상에서 만납시다’라는 대사는 실제 당시에 자주 하던 인사였다고 합니다. 이 대사를 듣는 순간 눈물을 흘리는 파독 광부 출신 관객이 많았다고 합니다.
영화 속 한국의 역사
영화는 덕수의 삶에서 한국의 근현대사를 겪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영화는 1950년 한국전쟁 중 흥남철수 작전 장면으로 시작됩니다. 이 작전은 중공군이 한국전쟁에 개입하면서 전세가 불리해지자 미군이 흥남항에서 미군과 한국군을 피난민과 함께 구출시킬 목적으로 실행된 대규모 철수 작전입니다. 덕수는 이 과정에서 아버지와 여동생을 잃고 어머니와 남은 가족과 함께 부산으로 피난하게됩니다. 이 장면으로 다시한번 전쟁의 고통을 느끼게 해줍니다.
다음은 덕수가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1960년대 파독 광부가 되는 사건이었습니다. 그곳에서 그는 파독 간호사인 영자를 만나게 됩니다. 당시 많은 사람들이 외화벌이를 위해 독일 등지로 파견되었고 이들은 한국경제발전의 중요한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덕수와 영자의 독일 생활은 파독광부와 간호사들이 겪은 고난과 희생을 보여줍니다.
그리고 덕수는 다시한번 가족을 위해 베트남 전쟁(1965~1973)에 참전하게 됩니다. 당시 한국은 미국과의 동맹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파병을 결정했고, 많은 한국군이 전쟁에 참전하여 생계와 국가 발전을 위해 싸웠습니다.
영화 후반에는 1983년 덕수가 KBS에서 진행한 이산가족 찾기 방송에 가족을 찾기위해 출연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이를 통해 한국전쟁으로 많은 사람들이 가족을 잃고 서로를 그리워하는 삶을 살아왔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 장면은 당시 수백만 명이 TV앞에서 눈물을 흘리며 이산가족 상봉을 지켜보던 감동적인 순간을 재현했습니다.
국제시장은 이처럼 한국의 현대사를 배경으로 한 개인의 이야기를 통해 전쟁, 이주 노동 그리고 가족의 중요성을 그려내며 1950년대 이후 격동의 세월을 살아온 세대에게 큰 공감을 얻었습니다. 영화는 그들이 겪은 고난과 희생이 오늘날 한국 사회의 기초가 되었음을 상기시키고 있습니다.